리눅스 소스 컴파일을 시작해봅니다. 늦었다 생각되었을때, 늦은것이 아니라, 빨리 해야합니다.
윈도우에서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설치용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install.exe 또는 setup.exe를 실행시킵니다. 그러면,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이 자동으로 c:\Program Files 등에 폴더를 만들어서 복사되고, 바탕화면에 실행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그러면, 실행 아이콘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 리눅스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며, 저 같은 초보자는 이것을 이해 또는 그 방법을 알아야할 듯 합니다.
즉, 리눅스에서는 2가지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할수 있으며,
첫번째는, 설치용 패키지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는 것으로서, dpkg, apt, apt-get, yum, rpm이라는 명령어를 키보드로 프롬프트 실행창에 입력하여 엔터를 쳐서 설치를 하는것입니다.
두번째는, 오픈소스를 다운받아서,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것입니다.
오픈소스 다운로드,
압축풀기,
configure 컴파일 환경설정 --prefix=위치, 보통 /usr/local/~ 을 디렉토리로 설정, Makefile을 만듬
make 컴파일하는 명령어, Makefile을 실행
make install 실행파일 복사
등의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즉, 윈도우만 사용해봐서 설치할때 이런 2가지 방법이 있다는 것을 모르면, 설치파일 다운로드하는 시작지점에서조차 설치가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공부하고 미리 알아봐여한다는 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그러면, python3 오픈소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우분트 등을 실행하여 키보드에서 'Ctrl' + 'Alt' + t 를 눌러서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python3가 설치되어 있는지, 설치된 버진이 최신인지 봅니다.
터미널에 dpkg -l | grep python3 을 입력합니다.
3. 디렉토리를 만들고
mkdir /down
4. 만든 디렉토리를 이동하고
cd /down
5. 디렉토리 내에 파일이 없음을 확인하고
ls
6. 웹그라우저를 실행시켜서, 주소 검색창에 python.org를 입력하여 접속하여, 상단 메뉴바에서 Downloads를 클릭합니다.
7.. Download 웹페이지에서 설치된 OS에 맞는 Python을 찾으라며, Windows, Linux/UNIX, macOS에 링크가 되어있는데, 링크믿줄이 있는 Linux/UNIX를 클릭합니다.
8. Python Source Releases라는 페이지 제목 밑에, Stable Releases 소제목에 Python 버전 리스트가 나열됩니다. Stable Releases 리스트 중에서 가장 위에있는 Python 3.9.6 - June 28, 2021 밑에 Download Gzipped source tarball과 Download XZ compressed source tarball 중에서 Gzipped source를 다운로드 받을겁니다. 즉, 링크표시된 Gzipped source tarball위에 마우스 화살표를 올려놓고 우클릭하여 나열된 명령들중에서 링크복사 명령을 클릭합니다.
프롬프트 명령어창으로 들어와서 wget 입력후 우클릭 붙이기를 하여 다운로드합니다.
wget https://www.python.org/ftp/python/3.9.6/Python-3.9.6.tgz
9.다운로드를 확인합니다.
ll -h
10. 압축을 풉니다.
tar xfz Python-3.9.6.tgz
11. 디렉토리를 확인합니다.
ls
12. 디렉토리 크기를 확인해봅니다.
du -sh Python-3.9.6
13. 디렉토리로 들어갑니다.
cd Python-3.9.6/
14. 파일을 확인합니다.
ls
15. c로 코딩된 300개 이상의 오픈 소스 파일을 감상해봅니다.
find . -name *.c
find . -name *.c | nl
헤더파일 300개 이상의 h 소스 파일을 감상해봅니다.
find . -name *.h | nl
16. 위의 소스들을 한번에 컴파일하도록 도와주는 기초 파일을 열어봅니다.
nl Makefile.pre.in
17. makefile을 만들기 위해서 configure 명령을 실행합니다.
./configure --prefix=/p3
실행후 If you want a release build with all stable optimizations active (PG0, etc),
please run ./configure --enable-optimizations 라는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18. 메시지에 따라 실행합니다.
./configure --enable-optimizations
실행후 메세지 마지막에 creating Makefile 메세지가 나옵니다.
19. Makefile이 생성되는지 확인합니다.
ls
20. Makefile을 열어봅니다. (임베디드를 하고자하는 경우 자세히 공부해야할 부분입니다. )
vi Makefile
21. Makefile을 실행하는 make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make
22.make를 설치합니다.
apt -y install make
22. make를 실행합니다.
make
자동으로 Makefile을 make 합니다.
23. 복사를 합니다.
make install
24. 혹시 에러가 발생하면 아래의 설치를 한후, 22. make, 23 make install 을 다시 실행합니다.
apt -y install zlib1g-dev
초보자가 알면 좋은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개발과정 조금 (0) | 2021.08.03 |
---|---|
라즈베리파이3에 우분투 설치 (1) | 2021.08.02 |
리눅스 임베디드 부트로더 (0) | 2021.08.02 |
리눅스 gcc 컴파일 링커 make Makefile (0) | 2021.08.01 |
리눅스 Vim 모드 코딩 (0) | 2021.07.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