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사용
1) git client 프로그램 설치.
2) 내 컴퓨터와 github 연결시켜 파일 주고받을 수 있게 설정
github 주소 확인 : github.com에 로그인하여 연결하려는 deposite(저장소)를 선택하여 clone or download를 클릭하여 주소를 확인, (git@github.com:test/test.git) 비슷한 주소를 볼 수 있으며, 복사해둠.
3) git server의 저장소의 파일들을 pc의 client에 복사해오기
git client 프로그램의 TERMINAL에
git clone git@github.com:test/test.gitt . 을 입력 엔터하면
git client 프로그램에 지정된 저장소로 github.com의 deposite에 있는 파일들이 모두 복사됨
4) pc에서 파일 수정후, 수정한 부분이 뭔지 확인해보기
PC에서 복사된 파일을 수정 후, git client 프로그램의 TERMINAL에
diff --git a/test.txt b/test.txt 를 입력 엔터하면
수정된 파일과 수정되기 전의 파일을 비교하여 수정된 부분을 표시해줌.
5) pc에서 수정한 파일을, git server에 업로드 해보기
PC에서 복사된 파일을 수정 후, git client 프로그램의 TERMINAL에
git commit -m "test2"를 입력 엔터 하면, test.txt에 대해 commit가 입력됨
git log 를 입력 엔터 하면, clinet 내의 파일 수정 히스토리를 보여줌
git push 를 입력 엔터하면, test.txt가 업로드가 됨. 즉, 컴퓨터의 저장소와 server의 저장소가 동일하게 되었음.
6) 기타
git status 하면, pc client에서 수정된 부분을 알려줌.
git add test.txt 하면, pc client에 수정된 파일을 등록 준비하고 서 server로 업로드 준비 상태가 되고
git commit -m "add line" 하면 등록 준비된 파일에 commit을 추가하여 pc client에 등록하고
git push를 하면 pc client에 등록된 파일들을 git server에 업로드 하여, pc client와 server의 파일들이 동기화가 됨
공유
1) 윗부분 메뉴에서 Settings를 클릭하고, 왼쪽 메뉴에서 Manage access를 클릭
2) 오른쪽 하단의 초록색 버튼 invite a collaborator 를 클릭 후, 공유하려는 사람들의 username 또는 email을 입력 후, 아래 초록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username의 사람들에게 e-mail로 초대장이 발송됨
3) 초대받은 사람들이 초대에 응하면, server의 공유된 저장소의 자료를 다운로드받고 업로드하고 github의 기능을 사용가능하게됨
커뮤니케이션
관리자, 개발자 들이 논의하기 좋은 게시판과 같은 기능
1) 윗부분 메뉴에서 Issues를 클릭
2) New issue 초록 버튼 클릭, 제목과 내용을 입력하고, 오른쪽의 Assigness에서 issue 담당자를 선택하고, Labels에서 issue의 종류(카테고리)를 선택하고, submit new issue 버튼 클릭하면, issue 담당자에게 알림이 발송됨.
3) issue Assignee(담당자)가 확인 후 issue 해결하고 내용을 작성할 수 있음.
4) issue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 클릭 후, 아래의 Close issue 버튼을 클릭하면, issue가 종결됨을 표시됨. 단, 삭제되는건 아님.
5) issues 화면에서 나열 기준을 Author, Label, Projects, Milesones, Assignee, Sort 중에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
Wiki
지식을 정리 정돈하는 기능. 프로젝트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
Insights
프로젝트의 상황을 보여줌
Fork
방문한 다른 프로젝트의 github의 내용을 나의 github로 복제하는 기능
Pull requests
내가 Fork한 후, 수정한 후, 원조 github에 내가 수정한 것을 가져가라고 제안 하는 기능
Actions
내 github의 운영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기능
안드로이드 앱 개발 (0) | 2021.08.04 |
---|---|
안드로이드 앱 개발 Java와 Kotlin (0) | 2021.08.04 |
Github GIT github.com 시작해보기 (0) | 2021.08.03 |
초보자가 알면 좋은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 개발과정 조금 (0) | 2021.08.03 |
라즈베리파이3에 우분투 설치 (1) | 2021.08.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