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P32는 BLE와 WIFI 모두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까지 내장된 모듈이면서,
직접 펌웨어 프로그래밍 및 실행이 가능한 MCU 까지 내장된 칩 입니다.
이러한 ESP32를 개발 가능하게 하는, 즉 편집 컴파일 다운로드 디버기잉 가능하게 하는 통합 개발툴 프로그램이 ESP-IDF입니다.
첫번재로,
ESP32 모듈 및 보드를 개발하기 위해서 ESP-IDF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던것처럼 EPS-IDF는 ESP32의 펌웨어 프로그래밍 편집기(ECLIPSE) 콤파일 디버깅에 필요한 통합툴 입니다.
https://dl.espressif.com/dl/esp-idf/?idf=4.4
를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합니다.
무료 툴입니다.
편집기를 ECLIPSE 외에도
아두이노
Visual Studio code
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할때 eclipse를 제외하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두번째로,
Visual Studio code를 다운받고 설치합니다.
무료 툴 입니다.
설치 후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합니다.
실행된 Visual studio code의 왼쪽 하단의 아이콘메뉴 중 테스트리스 ㄴ 모양의 extensions 메뉴를 클릭하여,
검색창에서 esp를 입력후 검색합니다.
검색된 리스트에서 Espressif IDF를 클릭 선택후, install 버튼을 클릭 설치합니다.
설치진행중 설치환경설정에서 USE EXISTING SETUP을 선택하였습니다.
(나중에라도 설정하기위해서는
보기/명령팔레트 실행후, esp-idf: configure esp-ide extension을 입력 실행하면
같은 설정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때는,
보기/명령팔레트 실행후, esp-idf: new project를 입력 실행합니다.
템플릿을 ESP-IDF를 선택하면 예제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생성도 가능합니다.
프로젝트의 ESP32의 하드웨어 설정값 등에 대한 환경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Visual studio code의 하단의 톱니바퀴 아이콘 (옵션 설정) 을 선택 클릭하거나,
보기/명령팔레트 실행후, esp-idf: menu를 입력 실행합니다.
MCU 클락 주파수, 플래쉬 메모리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빌드하기 위해서는
톱니바퀴 아이콘 옆옆에 원통형 모양의 아이콘(ESP-IDF build project)을 클릭합니다.
시간이 꽤 오래 걸립니다.
나만 그런거겠죠?
시리얼 모니터링 하려면,
VScode 아래에서 모니터 그림 아이콘을 클릭 선택하면,
시리얼 콘솔 화면으로 전환되어 보드에서 받은 메세지를 출력합니다.
ESP32를 개발하는데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해보고 싶어서
설치 실행해보았습니다.
불편할거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Eclipse 툴도 사용해봐야할거 같습니다.
Visual studio code로 아두이노 할때 설치 과정 (0) | 2022.02.02 |
---|---|
Visual Studio code 로 Arduino 할때 Serial 통신 안될때 (0) | 2022.02.02 |
파이썬 웹 스크래핑 (0) | 2021.09.18 |
파이썬 pygame 패키지 게임 만들기 (0) | 2021.09.15 |
Python GUI 프로그래밍 tkinter 콤보박스 프로그래스바 메뉴바 메세지박스 프레임 그리드 (0) | 2021.09.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