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프롬프트 창에서 git 설치 및 커멘드 사용하기
1) git 설치 및 설정
sudo apt-get install git 설치하기
sudo apt-get instal git-core 설치하기
git config --global user.name haetae 이름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email haetae@gmail.com 이메일 등록
git config --list 잘 입력이 되었는 지 조회
2) 수정된 소스를 구분해주는 색상 옵션 설정
git config --global color.ui "auto"
3) 저장소 만들기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만들고 디렉토리 안에서 git init 명령어로 저장소 초기화
mkdir robot 저장소 만들기
cd robot
git init 저장소 초기화
rm -rf .git 저장소로 초기화한 것을 저장소 취소하기
4) 저장소에 등록
vim test.c 소스코드 만들어보기
git status 저장소의 파일 상태 보기, 폴더 안에는 있지만 관리대상 아니라고 표시됨
git add test.c 파일을 등록함
git status 저장소에 test.c가 git로 등록되었음이 표시됨
git commit -m "1" 메세지를 추가
5) 저장소의 파일을 수정하고 버전 관리
git log 버전 상태를 확인, 버전 관리하는 화면임
vim test.c 를 수정함
git status 수정됨으로 표시됨
vim test2.c 소스코드를 새롭게 만듬
git status 수정됨 한개, 등록되지 않은 파일 1개 보여줌
git add test2.c
git commit -m "2" 등록한 test2.c 파일에 메시지 2를 추가함
test.c와 test2.c를 수정함
git add test.c
git status 입력엔터하면, test.c 는 커밋 가능, test2.c는 커밋할수 없는 상태로 표시됨
git commit -m "3" 입력엔터
git status 입력엔터하면, test.c는 보이지 않고, test2.c는 커밋할수 없는 상태로 표시됨
6) git 저장소의 내용(파일 또는 폴더)을 git clone으로 다른 디렉토리에 복사
mkdir temp
cd temp
git clone ~/haetae 만든 temp 디렉토리에 git의 내용을 복제
ls 입력 엔터하면, temp 디렉토리에 haetae 폴더 보이는 것 확인
cd haetae
vim test2.c 해보면 수정하기 직전의 기존 파일 코드를 볼 수 있음 (즉, git add, git commit을 하기 전의 상태까지의 파일들이 복제되었음)